Vol.23No.12022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ing Experience of Primary Caregiver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Age of COVID-19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를 둔 주 양육자의 돌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n Analysis of the Needs of Parents for Family Support by A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장애 자녀 연령별 부모의 가족 지원에 대한 요구 분석
Tasks and Current Status of eSports Research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통합체육에서 e스포츠 연구의 동향과 과제
A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Support in the COVID-19 Situation-With a Focus on D University-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에 관한 사례 연구 -D대학을 중심으로-
Analysis on Intuitive Cognition and Ease of Express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Sign Language Fingerspellings 남·북한수어 지문자의 직관적 인식과 표현 용이성
Analysis of Research Trends Concerning AAC-Related Interventions Conducted in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통합교육 환경에서 실시된 AAC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분석
The Effects of Quiz-based Applications and Linked Imitation Drawing Activities on the Cooking Job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ending Majoring Courses 퀴즈기반 애플리케이션 및 연계 모방 그림그리기 활동이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ictation Intervention with Self-Monitoring and Application to On-task behaviors and Performance of Th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자기점검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받아쓰기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특수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ugmented Reality as EduTech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특수교육 현장에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에듀테크로써 증강현실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Mothers’ Reactions to Negative Emotions, an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과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의 관계 연구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Studies: Focusing on UDL-based Teaching and Learning Implications to Improve Classroom Instruction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국내 보편적 학습설계(UDL) 중재연구 분석: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