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8No.22017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Parenting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 발달장애아동부모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Philosophy of Universal Design and Educational Philosophy of Universial Design for Learning 보편적 설계의 철학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교육철학
A Study of Fad Words Recognition and Usage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유행어 사용인식 및 사용특성 연구
천정민 Cheon Jeong-min , 김화수 Kim Wha-soo , 이근용 Rhee Kun-yong
page: 41-62
The effects of sexual attitude and sexual knowledge on sexual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청각장애 대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옥정달 Ok Jung-dal , 우주영 Woo Ju-young , 윤병천 Yoon Byung-cheon , 박민 Park Min
page: 63-78
Preparation experience and support demand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college entrance 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준비경험 및 지원요구
Search for Observational Teaching Strateg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Brain Science Theory 뇌 과학 이론에 기초한 지적장애학생의 관찰 교수 전략 탐색
김용성 Kim Yong-seong , 정진수 Jeong Jin-su , 박찬웅 Park Chan-ung
page: 105-123
The Qualitative Research on Night Activities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청각장애인의 밤 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UDL guidelie 2.0 and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보편적 학습설계 가이드라인 2.0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비교연구
Analysis of the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on Integ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ord Recognition and Relations of Sub-Variables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단어인지 특성 및 하위 변인간의 관계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Verb Conjugation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성인지적장애인과 비지적장애인의 용언 활용 비교 연구
Perception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eaching Competency 특수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분석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demand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basic curriculum 특수교사의 기본교육과정 적용 대상 장애학생 교수ㆍ학습 방법과 평가 실행 및 개선 요구